[경제읽기] "줄이고, 없애고"…고물가에 꼼수·편법 인상 확산<br /><br /><br />경제현안을 보다 쉽게 풀어보는 '경제읽기' 시간입니다.<br /><br />다양한 경제 이슈들, 김광석 한양대학교 겸임교수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 고물가가 장기화되며 가격 그대로 두고, 크기와 중량 줄이는 '슈링크플레이션'에 이어 품질이나 서비스를 떨어트리는 '스킴플레이션'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. '스킴플레이션'은 슈링크플레이션보다 질적으로 더 나쁘다고 지적받던데 실제 사례는 어떠한가요?<br /><br /> '스킴플레이션'은 외국에서도 문제가 되고 있는데요. 이 같은 꼼수가 늘어날 경우 기업은 단기적으로 이득을 볼 수 있지만, 소비자의 불신과 경계심을 키워 장기적으로는 소비 심리가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. 어떻게 보세요?<br /><br /> 정부는 슈링크플레이션과 스킴플레이션 같은 '꼼수 인상'을 막기 위해 제품의 양이 바뀔 경우 이를 별도로 표시하게 하는 방안 등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는데 효과는 어떨까요? 혹시 부작용은 없을까요?<br /><br /> 한편, 김장철이 시작되면서 배추와 무 등 재료 가격이 오르진 않을까 걱정하시는 분들이 많았는데요. 올해 김장비용, 지난해와 비교했을 때 어느 정도인가요?<br /><br /> 정부가 김장비용을 잡기 위해 비축 물량을 풀고 배추와 무 등 가격을 매일 점검했는데 효과가 있었다고 보시나요?<br /><br /> 정부가 긴급 대책으로 물가 안정에 힘을 쏟고 있지만 연말 고물가가 지속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. 고금리와 국제유가 등 원재료비 인상 변수가 산적한 상황인데 정부 통제만으로 관리가 가능할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(끝)<br /><br />